최종업데이트 : 30/05/2019
조회수 :

마을인터뷰_마을의 빈집을 마을 회복과 재생의 원동력으로 삼는다 ‘청년협동조합 W42’

서구의 정서진중앙시장 속으로 들어가 길을 걷다보면 옛날 단독주택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그 안에 들어가보면 카페로 꾸며져 있는 ‘가정집’이 있다. 외관을 […]
Written by: doogak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table of contents

서구의 정서진중앙시장 속으로 들어가 길을 걷다보면 옛날 단독주택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그 안에 들어가보면 카페로 꾸며져 있는 ‘가정집’이 있다. 외관을 보면 잘 꾸며져 있는 정말 평범한 집이다. 그럴 수 밖에 없는 것이 카페 ‘가정집’은 원래 사람이 살던 집을 직접 리모델링해서 카페와 펍으로 만들어놓은 공간이기 때문이다.

‘가정집’은 기본적으로 카페 공간이다. 테이블과 의자가 놓여 있고 사람들이 모여앉아 커피 등 음료를 마실 수 있다. 그렇지만 단순히 빈집이었던 공간에 카페가 들어섰다고 이해하기에는 더 많은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가정집’을 운영하고 있는 청년조합 W42의 장은주 대표를 만나 이야기를 청했다.

청년조합 W42는 어떤 단체인가요?

장은주 : W42는 2018년 9월에 ‘청년협동조합 W42’라는 이름으로 설립된 법인이면서 협동조합입니다. 저희의 슬로건은 ‘우리의 일상이 지역문화가 되는 그 날’이고, 현재 이사 6명을 포함해서 22명이 있습니다.

이름에 들어가 있는 W의 의미는 기본적으로 ‘우리 사이’의 약자이긴 한데 Wonder(경이로움, 크게 놀라다)라는 뜻이 붙기도 하고요. 보통은 ‘우리 사이’의 약자로 설명드리고 있어요. 지역주민과 도시재생 활동가, 소상공인 분들, 청년창업가, 디자이너, 문화플래너 등 각 분야에서 활동하던 청년들이 모여서 할 수 있는 역할들을 고민했던 장소가 부평시장 로터리 42번지였거든요. 초심을 잃지 말자는 의미에서 W42가 이름으로 최종 결정되어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습니다.

W42는 ‘가정집’을 현재 운영하고 있는데 이 공간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장은주 : 여기가 원래는 방치되어 있던 빈집이었어요. 저희가 지역 내 유휴공간을 조사하면서 이곳을 발견해서 리모델링을 하고 카페 공간으로 꾸몄어요. 처음에는 관리가 안 되어 있어서 곰팡이도 많이 펴있었는데, 저희가 직접 리모델링 작업을 하면서 청소도 하고 벽지나 노출된 합판도 다 제거 했어요. 그렇게 저희가 힘을 합쳐서 조금씩 새로운 공간으로 바꿔나갔어요.

‘가정집’이라는 이름은 방치되어 있던 일반 가정집을 리모델링한 것이기도 하고, 주소가 서구 가정동이기도 해서 가정집이라는 이름을 붙였어요. 연중무휴이고 카페와 펍을 안에서 운영하고 있지만, 지역주민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해요. 여담으로 커피 맛이 매우 좋다는 평가를 많이 받고 있습니다.

이렇게 가정집을 만들게 된 이유가 궁금합니다.

장은주 : 원래 제가 도시재생 활동을 하다가 뜻이나 가치를 같이 공유하는 사람들이 모여서 이렇게 W42의 활동을 시작하게 된 거에요. 원도심의 주요 문제 중 하나가 빈집의 노후화라고 생각했어요. 물론 쓰레기와 주차 문제도 중요한 문제에요. 하지만 결국 빈집의 노후화가 쓰레기랑 주차 문제까지 연계되어 나온다는 W42의 자체적인 결론에 도달했어요. 또한 주민워크숍이나 주민회의를 통해서 나온 고민들 중 많은 분들이 공감을 했던 부분이 문화시설의 부족이에요. 문화시설이 부족하다보니 주민들이 어울릴 수 있는 문화프로그램 자체가 거의 없다시피 해요.

그래서 빈집의 노후화와 문화공간의 부족, 이 두 문제 요인을 결합해서 뭔가를 해보자고 생각했고, 이 지역에 있는 유휴공간들을 조사해보고 청년활동가들과 주민이 함께 어울릴 수 있는 문화프로그램들을 진행해보자고 해서 이런 빈집 리모델링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가정집’은 그 빈집 리모델링 사업의 첫 시작이고요.

W42가 마을 속 도시재생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활동들을 하고 있나요?

장은주 : 저희는 여러 가지 활동들을 하고 있어요. 첫 번째로 ‘가정집’처럼 지역에 있는 유휴공간들을 조사해서 빈집을 리모델링하는 사업을 하고 있어요. 그리고 두 번째로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창업아카데미도 자체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 지역 주민들과 같이 지역을 연구하고 조사하는 일도 하는데 ‘가정집’이 일종의 지역연구소 역할도 담당하고 있어요. 또 청년스타트업 네트워크 파티를 주최해서 네트워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도 해요. 그리고 최근에 더불어희망지 사업에 중간지원조직으로 선정이 되기도 했어요.

활동을 굉장히 활발하게 하고 계신데요. W42의 의사결정과정이나 갈등조정방법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장은주 : 저희는 원래 회의를 하면 10시간에서 12시간을 했어요. 협동조합이다보니 의사결정도 그만큼 늦어지기도 하고, 그 안에서 의견을 나누다 보면 반드시 충돌이 생기거든요. 그럴 때는 긴 시간 동안 대화를 통해 풀려고 했어요. 그래도 안 풀리면 다음날 안건으로 가져가고요. 그런 식으로 해서 회의가 점점 길어지면 나중에는 지쳐서 합의를 보시더라고요(웃음).

충분한 대화로 갈등을 풀려고 하고 있는 한편, 이 안에서는 옳다와 그르다는 표현을 쓰지 않도록 하고 있어요. W42에는 경험이 있는 사람들도 있지만 뭔가를 하고 싶은데 경험이 없는 사람들도 있거든요. 그런 사람들도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려고 해요. 하다보면 실패할 수도 있을 거에요. 하지만 그 실패에서도 배움이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너무 큰 손실이 아니라면 실패를 해도 W42에서는 잘 받아들이는 편이에요.

W42의 향후 활동계획과 목표는 무엇인가요?

장은주 : 먼저 ‘가정집’은 청년과 주민들의 사랑방 역할을 했으면 좋겠어요. 그리고 마을 안에 있는 유휴공간들을 조사해서 주민들과 함께 빈집 리모델링을 하는 사업을 빈집소셜 프랜차이즈라고 이름을 붙였습니다. 이 빈집소셜 프랜차이즈가 전국구로 내리뻗게 하는 것이 목표이고요, 그 안에서 주민들이 직접 기획하고 실행하는 문화프로그램을 하면서 주민들의 일상 속에서 발에 채이듯이 문화를 전파할 수 있는 주민 사랑방을 확장시키고 싶습니다.

마을공동체와 도시재생은 어떤 방식으로 나아가면 좋을까요?

장은주 : 사람과 사람 사이에 선을 긋지 않고 누구든지 포용할 수 있는 도시, 누구나 살고 싶은 도시를 만드는 것이 도시재생사업이라고 생각해요. 다른 동에 살더라도 이 지역에 대해 더 관심을 가지고 애정을 가지고 있으면 이 지역에 살지 않아도 충분히 마을의 주인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거든요. 주민들을 도시재생사업의 대상화하기보다는, 마을의 주인을 발굴하는 것이 궁극적인 도시재생사업이라는 생각을 개인적으로 가지고 있어요.

또 마을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그 안에 있는 주민들이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원동력이 필요해요. 가정집이라는 거점공간을 기반으로 해서 문화프로그램들을 운영해서 주민들과 소통하는 것도 원동력에 불을 지피는 역할을 하거든요.

굳이 ‘가정집’이 아니더라도 각 지역에 있는 문화공간들을 통해 다양한 활동가 분들이 지역주민들과 함께 어울릴 수 있고, 그들 자체의 공동체를 넘어서 공동체 간 네트워크도 함께 이루어지면 더 좋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글 홍보담당 / 사진 W42 제공

답글 남기기

RELATED POSTS

Check other posts you may like
인천광역시 마을공동체만들기 지원센터의 새로운 소식을 가장 빠르게 받아보세요.

뉴스레터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crosschevron-downchevron-down-cir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