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업데이트 : 12/07/2024
조회수 :

자립준비청년과 함께 살아가는 마을공동체의 역할

글|조현수 대표(자립준비청년 당사자 네트워크 ‘아디주 커뮤니티’) 아동 양육시설, 공동생활 가정, 가정위탁 등의 보호를 받다가 만 18세 이후 보호가 종료되어 홀로서기에 […]
Written by: doogak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table of contents

|조현수 대표(자립준비청년 당사자 네트워크 ‘아디주 커뮤니티’)

아동 양육시설, 공동생활 가정, 가정위탁 등의 보호를 받다가 만 18세 이후 보호가 종료되어 홀로서기에 나서는 청년을 ‘자립준비청년’이라고 명명합니다. 최근 자립준비청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당사자들의 안정적인 사회 진입을 돕기 위해 지역사회에서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함께 고민하기 시작했습니다.

본 글은 자립준비청년에 대한 마을공동체 정책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논의하고, 정책적 제언을 다루고자 합니다. 이를 통하여, 우리 사회가 어떻게 자립준비청년들을 지원하고 그들의 가능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지 고민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아프리카의 오래된 속담 중,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라는 말처럼, 청년 당사자들의 자립 역시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이들의 주체적인 자립은 주변 공동체의 적극적인 지원과 협력이 필요합니다.

자립준비청년의 어려움과 마을공동체의 역할

2020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호 종료 아동 자립 실태 및 욕구조사」에 따르면 자립준비청년은 사회 환경적 자원이 상대적으로 많은 비자립준비 청년보다 건강, 심리 및 정서, 사회적 관계, 주거, 교육, 고용 및 경제 관련 지표가 대부분 부정적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주거, 생활, 교육, 취업, 자산 형성과 관련된 자원과 함께 심리 정서와 사회적 관계 지원에 대한 욕구를 나타냈습니다.

자립준비청년들은 홀로서기를 시작함과 동시에 사회적, 경제적, 정서적으로 많은 도전을 직면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다양한 어려움에 부딪히게 됩니다. 이러한 어려움은 개인의 능력을 넘어선, 사회적 차원의 이해와 지원이 필요한 영역입니다.

마을공동체는 어려움을 겪는 자립준비청년들에게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데 아래와 같이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는 청년 당사자들의 주체적인 자립을 도모합니다.

· 경제적 지원: 청년들에게 직업 기회를 제공하고, 그들의 기술 개발과 직업 훈련을 지원합니다.

이는 청년들이 경제적으로 자립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정서적 지원: 멘토링 프로그램, 정신 건강 상담, 사회적 네트워킹 기회 제공을 통해 청년들이 정서적

안정을 찾고 사회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교육적 지원: 교육 기회 확대, 직업 훈련을 통해 청년들이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마을 공동체 정책의 필요성과 방안

자립준비청년들이 직면한 복합적인 어려움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마을공동체 차원에서의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필수적입니다. 이러한 접근은 마을공동체 정책을 통해 실현될 수 있으며, 이는 청년들에게 필요한 다양한 서비스와 기회를 제공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먼저, 마을공동체 정책은 자립준비청년에게 필요한 통합적인 지원 체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중요합니다.

· 포괄적인 지원: 경제적, 정서적, 교육적 지원을 포괄적이고 연속적인 지원을 당사자들에게 제공합니다.

· 지속 가능한 자립: 청년들의 장기적인 자립과 사회적 통합을 촉진합니다.

· 지역 커뮤니티 강화: 청년들과 지역 커뮤니티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지역사회의 결속력을 강화합니다.

자립준비청년들을 지원하기 위한 마을공동체 정책은 다음과 같은 방향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 직업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개발: 청년들이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맞춤형 직업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합니다. 이는 실질적인 취업 기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지역 기반 일자리 창출: 마을 기업, 협동조합, 스타트업 등을 통해 지역 내에서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합니다. 이는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취업 기회를 제공합니다.

· 마을 미디어를 통한 소통: 마을 미디어를 활용하여 당사자 청년들의 이야기와 경험을 공유하고, 그들의

목소리를 지역사회에 알립니다. 이는 당사자 청년들이 마을공동체와 더욱 긴밀하게 연결되도록 돕습니다.

이러한 정책은 청년들이 자신들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사회의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합니다.

마을공동체 정책의 생산, 보완 및 제안

마을공동체 정책의 성공은 자립준비청년들의 실제 필요와 경험에 기반한 지속적인 평가, 개선 및 적응을 통해 달성됩니다. 청년들의 참여와 피드백은 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마을공동체 정책의 효과적인 생산과 구현은 다음과 같은 접근 방식이 필요합니다.

· 당사자 청년들과의 협력: 청년들의 직접적인 참여와 협력을 통해, 그들의 실제 필요와 우선순위를

반영하는 정책을 개발합니다. 이를 위해 실태조사, 포커스 그룹 인터뷰, 커뮤니티 미팅 등을 활용합니다.

·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협력: 지역사회단체, 교육 기관, 정부 기관, 민간 기업 등과의 협력을 통해 다양한

자원과 전문성을 결합합니다. 이는 정책의 효과성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촉진합니다.

정책의 보완과 개선은 다음과 같이 진행될 수 있습니다.

· 정기적인 평가 및 피드백: 정책의 효과를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필요에 따라 개선 및 조정합니다.

이를 위해 피드백 메커니즘을 마련하고,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합니다.

· 성공 사례와 실패 사례의 분석: 국내외의 다른 지역에서 시행된 정책 사례를 분석하여, 성공 요인과

실패 요인을 파악합니다. 이를 통해 배운 교훈을 적용하여 정책을 강화하고, 효과적인 전략을 개발합니다.

더 나은 정책 제안을 위해서는 다음의 요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지역 맞춤형 정책 개발: 각 마을의 특성과 필요에 따라 맞춤형 정책을 개발합니다. 이는 지역 고유의 문화,

경제적 상황, 사회적 자원 및 동향을 고려해야 합니다.

·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설정: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합니다. 이는 청년들의 자립을 지원하는 동시에 지역사회의 전반적인 발전을 도모하는 데

중요합니다.

결론. “접붙여진 우리의 자립”을 향한 마을공동체의 통합적 접근의 중요성

마을공동체는 경제적, 정서적, 교육적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자립준비청년들이 주체적인 자립으로 나아가는 데 필수적인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이는 지역사회가 청년들과 함께 나아가는 과정입니다. 청년들과의 직접적인 협력을 통해 개발된 정책은 그들의 실제 필요와 경험을 반영할 수 있으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반이 됩니다.

마을공동체 정책의 생산과 보완 과정에서는 청년들의 목소리를 듣고 그들의 요구를 반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역 맞춤형 정책 개발,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설정, 정기적인 평가 및 피드백은 이러한 정책이 효과적으로 이행되고 개선되도록 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마지막으로 제가 꿈꾸는 마을은 상호 존중과 협력이 기반된 공동체입니다. 이러한 마을공동체는 단순히 청년들을 지원하는 것을 넘어서, 모든 구성원이 상호 연결되고 연대하는 단단한 사회적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네트워크는 개인과 공동체가 함께 성장하며, 각자의 재능과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합니다. 이러한 마을공동체가 실현됨으로써, 자립준비청년뿐만 아니라 모든 사회 구성원이 조금은 더 풍요롭고 의미 있는 삶을 영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마을공동체가 단순히 지역사회의 한 부분이 아닌, 지역사회 전체의 발전과 행복에 기여하는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해 가길 소원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다양한 구성원들과의 지속적인 소통과 협력, 그리고 공동체 내외부의 자원과 기회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모두가 함께 성장하며 지속 가능한 활기찬 마을공동체를 실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인천광역시 마을공동체 만들기 지원센터 웹진 110호 동시발행

답글 남기기

RELATED POSTS

Check other posts you may like
2024년 10월 25일

우리사회에서 돌봄민주주의 실현 방안

2024년 09월 27일

청년들의 마을살이: 4단계 전략

2024년 08월 23일

청소년, 마을과 연결을 통한 배움과 성장

2024년 07월 26일

빈 공간에 사람과 이야기를 채우는 마을 아카이빙

2024년 06월 21일

제 5섹터의 등장

2024년 05월 31일

공공가치 공동창출과 주민자치회 제도화

인천광역시 마을공동체만들기 지원센터의 새로운 소식을 가장 빠르게 받아보세요.

뉴스레터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crosschevron-downchevron-down-circle